연혁
1971년 4월 15일 조선대학교 부속병원이 개원하면서 부임한 초대 주임교수로 민경환 교수(1971.3~1972.2)가 있으며, 그 뒤를 이어 이대일 교수(1972.3~1973.2), 허만하 교수(1973.3~1974.2), 박영집 교수(1974.5~1989.12), 지정희 교수(1976.5~1980.3), 박규호 교수(7199.7~1992.8), 서재홍 교수(1983.5~2014.9), 전호종 교수(1986.5~2019.8)가 근무하였으며 현재는 교수 4명이 근무하고 있다. 첫 강의는 1970년 3월 2일부터 의학과 2학년에서 외래강의에 의해 시작되었다.
교실소개
학문의 특성상 임상의학과 기초의학의 교량역할을 하는 중추학문으로서, 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서는 병리학 및 실습 담당학과로서 의학과 학생 교육에 큰 몫을 차지하며, 병원 병리과에서는 환자의 진단 및 임상의나 수련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. 세부적인 업무 및 연구 분야는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접근과 기능적 측면을 연구 관찰하는 형태병리학, 조직의 기능에 대한 접근법인 면역병리학, 분자병리학이 있다.
교육내용
-
세포병리 (세포손상과 적응)
정상세포는 기능과 구조의 변동 폭이 매우 한정되어 있다. 병적 자극에 대한 세포 손상, 세포의 적응의 기전과 함께 이때 관찰되는 형태학적 소견과 생화학적 변화를 이해한다.
-
염증과 수복
세포손상의 가장 기본적 형태의 결과인 급성, 만성 염증반응의 기전, 병리 소견, 종류를 임상 소견과 연관시켜 이해하고 치유와 수복과정의 기전을 이해한다.
-
체액 및 혈액역동 장애
순환계는 물질대사 산물을 운반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신체 내의 내적 환경을 결정하는데 중요하다. 혈액역동 장애와 체액 불균형의 원인과 기전, 이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, 임상 증상 등에 대하여 이해한다.
-
유전질환
질병의 원인기전의 하나인 유전적 요인에 대한 분석 및 그에 따른 형태학적인 개요를 습득하고 최근에 연구가 활발한 분자 유전학적 개념을 도입하여 유전학 분야에서 흔히 쓰이는 용어의 정의, 유전병의 종류, 발병기전, 임상 특성, 유전병을 진단하는데 이용되는 방법들에 대해 이해한다.
-
면역질환
인체의 정상 면역반응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하고, 이를 토대로 면역계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질환의 종류, 발생기전, 형태학적 소견과 특징적 임상 소견을 이해한다.
-
종양
종양의 원인, 발생기전, 종류와 명칭, 형태학적 소견,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임상 양상, 진단법에 대해 이해한다.
-
감염질환
감염 미생물과 인체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각종 감염증의 감염기전, 특징적 병리 소견, 임상 증상 등에 대해 이해한다.
-
환경과 영양질환
환경적 요인들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해하고 이들에 의한 질환들의 발생기전, 형태학적 소견, 임상 증상 등을 이해한다.
-
신생아와 유소아질환
신생아, 유소아기 질환의 특성을 이해하고 각 질환의 원인과 발병기전, 임상소견과 형태학적 소견을 이해한다.
-
노인질환
세포 노화의 기전을 이해하고 노화에 따른 장기의 형태학적 변화를 이해한다.
-
각 장기 및 조직의 질환을 이해한다.
- 1. 심장과 혈관질환
- 2. 조혈계, .림프절과 백혈구 질환
- 3. 호흡기계, 두경부 및 종격동질환
- 4. 위장관과 간담췌 질환
- 5. 신장과 하부요로계 질환
- 6. 남성과 여성 생식기계질환
- 7. 유방질환
- 8. 내분비계질환
- 9. 골격계, 관절 및 연부조직질환
- 10. 신경계 질환
발전계획 Vision
광학 현미경 및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직의 미세 형태를 관찰 연구하여 병적상태 및 발병기전을 규명한다. 그리고 in situ hybridization, 면역조직화학적 기술, 면역 전자현미경, in situ hybridization EM을 응용하여 미세구조의 동정 및 국지화를 꾀하고,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며, 세포기원 및 병인 규명에 이바지한다. 또한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종양 및 염증세포의 동정 및 분류, 임상예후 관련인자 제공을 꾀하고, 종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한 조직 내 바이러스 검출, 세균동정, 종양유전자확인, 컴퓨터 형태 계측기를 이용한 객관화된 세포의 정량·정성분석 등을 시행한다.